필요한 파일 복사../붙여넣기..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365건
- 2009.06.02 eclipse에서 패키지 생성시 . 사용시..
- 2009.06.02 다른영역 클래스간 import 사용이유..
- 2009.06.02 멤버함수 오버로딩
- 2009.06.02 CSS연습.
- 2009.06.02 font 관련된 스타일 옵션 간단히.
- 2009.06.02 링크와 관련된 스타일 지정.
- 2009.06.02 class 및 id를 지정한 스타일 지정
- 2009.06.02 기존 태그에 스타일 지정.
- 2009.06.02 CSS 적용 3가지 방법.
- 2009.06.01 교육/채용기준 및 자기 이해.
필요한 파일 복사../붙여넣기..
package ch05_1;
//import는 다른 영역의 클래스를 참조할 수 있도록
//패기지명, 클래스의 형태로 선언함으로써,
//다른 패키지 영역의 클래스를 자유롭게 사용할수 있도록 해준다.
//다른 클래스를 import로 지정하면... 생략해 쓸수 있다.
//import ch05.sub.Car;
//import ch05.sub.Mission;
//아래와 같이 *를 사용하면 해당패키지의 모든 클래스를 자유로이 참조할 수 있다.
import ch05.sub.*;
//JDK컴파일러가 java.lang안의 클래스들은
//컴파일러가 컴파일시 알아서 아래의 구문을
//붙여서 컴파일하므로 자동인식이 되었던 것이다.
//import java.lang.*;
public class Ch051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05.Car car = new ch05.Car("소나타","쥔장");
ch05.Mission m = new ch05.Mission();*/
/*ch05.sub.Car car = new ch05.sub.Car("a","b");
ch05.sub.Mission m = new ch05.sub.Mission();*/
//import쓰는 이유 . 긴 패키기지명을 단축시키기 위해 사용.
Car car = new Car("소타타","쥔장");
Mission m = new Mission();
System.out.println("Hello");
}
}
package ch05;
public class Ch0508
{
//멤버함수 오버로딩 : 멤버함수를 선언할 경우
//인자의 갯수가 다르면 별개의 함수로 취급하는
//이 특성을 오버로딩이라 부른다.
public Ch0508()
{
// TODO 자동 생성된 생성자 스텁
hello();
hello("비가 오는 날");
int z = hello(1,2);
System.out.println(z);
}
public void hello()
{
System.out.println("Hello");
}
public void hello(String s)
{
System.out.println(s);
}
public int hello(int a, int b)
{
return a+b;
}
public Ch0508(String s)
{
System.out.println("생성자메시지 : "+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생성자도 오버로딩가능.
//new Ch0508();
new Ch0508("hello");
}
}
**** 0602ex01.htm ****
<html>
<head>
<style type="text/css">
/*실습1*/
h3
{
font-size:40;color:blue;
}
p
{
font-size:15;color:silver;font-weight:bold;
}
</style>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0602ex01.css">
</head>
<body>
<h1>실습1</h1>
Embedded Style로 p태그와 h3태그를 선택자로 하여 글자크기와 글자색을 정의 하여 작성.
<h3>CSS의 Embedded Style</h3>
<p>선택자로 h3 사용</p>
<hr><br><br>
<h1>실습2</h1>
div태그에 inlineStyle을 적용, 글씨체, 글자크기, 글자색 정의 출력.
<div style="font-size:20;color:red;font-family:궁서">InlineStyle로 지정하여 처리</div>
<hr><br><br>
<h1>실습3</h1>
외부파일로 다음과 같이 출력(0602ex01.css참조)<br>
u를 선택자로 배경색과 글자크기 글자색 정의하여 다음과 같이 출력<br>
<u>언더라인이 적용된 외부파일 이용</u><br>
이것은 아무것도 적용되지 않는 부분.
</body>
</html>
**** 0602ex01.css ****
u{background-color:green;font-size:25;color:white;}
**** 0602ex02.htm ****
<html>
<head>
<style type="text/css">
/*실습4*/
h2,p
{
font-size:30;font-family:궁서;
}
i,h3
{
font-size:35;font-family:굴림;
}
div span,p u
{
color:blue;background-color:yellow;font-family:굴림;
}
/*실습5*/
.hi
{
color:yellow;background-color:green;
}
/*실습6*/
a:link,a:active,a:visited
{
text-decoration:none;
}
a:hover
{
background-color:green;color:white;
}
/*실습7*/
#bodyid
{
background-color:silver;color:blue;
}
</style>
</head>
<body id="bodyid">
<h1>실습4</h1>
p태그와 h2태그에 같은 글자체, 글자크기 정의<br>
i태그와 h3태그에 같은 글자체, 글자크기 정의<br>
<p>p태그와 h2태그에 같은 글자체, 글자크기 정의</p>
<h2>p태그와 h2태그에 같은 글자체, 글자크기 정의</h2>
<i>i태그와 h3태그에 같은 글자체, 글자크기 정의</i>
<h3>i태그와 h3태그에 같은 글자체, 글자크기 정의</h3>
<hr><br><br>
<h1>실습5</h1>
p태그 안에 u태그가 있을때 적용(배경색:노랑, 글자색:파랑)<br>
div태그안에 span이 있을때 적용<br>
<p>여기는 문단을 표시하는 p태그 <u>여기는 언더라인 u태그</u> 입니다.</p>
<div>하위태그에 <span>스타일이 적용</span>되는 예문입니다.</div>
<hr><br><br>
<h1>실습6</h1>
class에 배경색 지정<br>
링크에 밑줄이 나오지 않도록 지정하고 링크위에 마우스가 올라가면 배경색이 변하게 지정<br>
(2라인, naver 링크 지정)<br>
<p class="hi">안녕하세요</p>
<table>
<tr><td><a href="#">1라인입니다.</a></td></tr>
<tr><td><a href="#">2라인입니다.</a></td></tr>
<tr><td>3라인입니다.</td></tr>
<tr><td>4라인입니다.</td></tr>
</table>
<a href="#">naver</a>
<hr><br><br>
<h1>실습7</h1>
body 태그에 id 지정하여 글자색(blue)과 배경색(silver)을 지정.<br>
,여기는 몸체입니다.<br>
</body>
</html>
CSS Font관련....
font-style 속성
normal : 정상
oblique : 글꼴이 기운 형태
italic : 글꼴이 이탤릭 형태, 이탤릭 글꼴이 없으면 oblique로 표시
inherit : 부모 요소의 값을 상속하도록 지정
font-weight 속성
100 - 900 : 수치가 높을수록 굵은 글꼴
normal : 400과 같음
bold : 700과 같음
bolder : '900'과 같으나 글꼴에 의존하므로, 보통 '700'으로 표현된다
lighter : '100'과 같으나 글꼴에 의존하므로, 보통 '400'으로 표현된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값을 상속하도록 지정
font-variant 속성
normal : 정상
small-caps : 작은 대문자
inherit : 부모 요소의 값을 상속하도록 지정
font-size 속성
<absolute-size> : xx-small | x-small | small | medium | large | x-large | xx-large : 절대 크기
<relative-size> : larger | smaller : 상대크기
<길이> : 절대적인 글꼴 크기 설정, 음수 사용 불가
<백분율> : 부모 요소를 기준으로 계산
inherit : 부모 요소의 값을 상속하도록 지정
line-height 속성
font-family 속성
family-name : 글꼴 이름 지정(글꼴 이름은 쉼표로 구분)
generic-family : 기본 글꼴 지정
inherit : 부모 요소의 값을 상속하도록 지정
caption : 제목 글꼴으로 지정
icon : 아이콘 라벨 글꼴으로 지정
menu : 메뉴 글꼴으로 지정
message-box : 대화 박스 글꼴으로 지정
small-caption : 작은 제목 글꼴으로 지정
status-bar : 상태바 글꼴으로 지정
inherit : 부모 요소의 값을 상속하도록 지정
[출처]롱이 블로그
http://blog.naver.com/ejs0414.do
<html>
<head>
<style tyep="text/css">
a:link, a:active, a:visited
{
font-size:35;text-decoration:none;
}
a:hover
{
background-color:blue;color:white;font-size:30
}
</style>
</head>
<body>
링크 스타일 적용<br>
<xmp>
<style tyep="text/css">
a:link, a:visited
{
font-size:35;text-decoration:none;
}
a:active
{
font-size:35;text-decoration:none;color:green;
}
a:hover
{
background-color:blue;color:white;font-size:30;
}
</style>
</head>
</xmp>
아래는 링크<br>
a:hover는 마우스 올려져 있을경우<br>
<a href="#">네이버.. 갈줄알았지?</a>
</body>
</html>
<head>
<style tyep="text/css">
.cs1
{
font-size:35;
background-color:blue;color:white;
}
.cs2
{
font-size:20;
background-color:yellow;color:green;
}
div.cs3
{
font-size:30;
color:green;
}
#good1
{
font-size:20;
color:gray;
}
#good2
{
font-size:50;
color:green;
}
</style>
</head>
<body>
클래스 스타일 지정<br>
<xmp>
<head>
<style tyep="text/css">
.cs1
{
font-size:35;
background-color:blue;color:white;
}
.cs2
{
font-size:20;
background-color:yellow;color:green;
}
div.cs3
{
font-size:30;
color:green;
}
</style>
</head>
</xmp>
<p class="cs1">p태그에 cs1 클래스적용</p>
<p class="cs2">p태그에 cs2 클래스적용</p>
<div class="cs3">div.cs3 : div태그에 cs3 클래스인경우만 적용 적용</div>
<br>
<h4>ID로 스타일 지정</h4>
<xmp>
<head>
<style tyep="text/css">
#good1
{
font-size:20;
color:gray;
}
#good2
{
font-size:50;
color:green;
}
</style>
</head>
......
<div id="good1">ID로 good1를 지정하여 적용</div>
</xmp>
<div id="good1">ID로 good1를 지정하여 적용</div>
<p id="good2">P태그를 사용하고 ID로 good2를 사용할때 적용</p>
<a href="060204.htm">누르기전에 링크모양 봐두고.. 링크클릭.</a>
</body>
</html>
<html>
<head>
<style tyep="text/css">
body
{
background-color:yellow;
color:blue;
}
image
{
border:10px dotted blue;
}
p,div{font-family:궁서;color:red;font-size:50;background-color:blue;}
b u{background-color:green;font-size:25;color:white;}
h4{font-size:35pt;color:green;}
</style>
</head>
<body>
태그에 스타일 지정<br>
<img src="../html/image/disk.jpg" width="200" height="200">
<p>문단을 지정하는 태그</p>
<div>특별한 기능은 없으나 <div>스타일시트</div>에 적용할때 </div>
","없이 공백일경우(ex : b u {.. ) 하위태그 속성만<br>
<b>진하게 글씨를 표현 <u>언더라인을 표시</u> 진한지 확인해보세요</b>
</body>
</html>
<html>
<head>
<style type="text/css">
<!--
h2 {font-size:35pt; color:blue;}
p {font-size:20pt; color:gray;}
-->
</style>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060201.css">
</head>
<body>
CSS(Cascading Style Sheet)<br>
작성할수 있는 3가지방법<br>
<h3>1.head 작성-Embedded Style</h3>
<xmp>
<head>
<style type="text/css">
<!--
h2 {font-size:35pt; color:blue;}
p {font-size:20pt; color:gray;}
-->
</style>
</head>
</xmp>
<h2>처음 작성하는 Style Sheet</h2>
<p>여기는 스타일 시트가 적용됨</p>
<div>적용하지 않는 div</div>
<br><br>
<h3>2.태그에 직접 작성-Inline style</h3><br>
<xmp>
<p style="font-style:italic;font-size:50pt;">여기는 스타일 시트가 적용됨</p><br>
</xmp>
<p style="font-style:italic;font-size:50pt;">여기는 스타일 시트가 적용됨</p><br>
<h3>3.css파일호출-Linked Style</h3>
*** 060201.css ***내용<br>
h4{font-size:35pt;color:green;}
<xmp>
<head>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060201.css">
</head>
*** 060201.css ***내용
h4{font-size:35pt;color:green;}
</xmp>
<h4>외부에서 설정한 css H4태그</h4>
<br>
<xmp>
*.스타일시트에서 사용하는 단위
- 절대단위
in:인치(1인치 = 2.54cm)
cm:센티미터
mm:미리미터
pt:포인터(1포인터 = 1/72인치)
pc:파이카(1파이카 = 12포인트)[잘안씀]
- 상대단위
%:기준이 되는 크기에 대한 비율
px:1필셀을 1로하는 단위
ex:그 범위에서 유효한 폰트와 소문자 x높이를 1로하는 단위
em:그 범위에서 유효한 폰트의 가장큰 높이를 1로하는 단위
</xmp>
</body>
</html>
과거 : Know Where
현재 : Know How
미래 : Know(?) of job
평가기준 분석
기업
면접 : 30.4%
출신대,전공,학점 : 19%
외국어 : 12.6%
직무적성평가 : 12.1%
인성 : 11%
필기시험 : 8.8%
자격증 : 4.3%
자기소개서 : 1.3%
경력 : 0.5%
면접
인성 및 태도 : 31.5%
직무관련 지식 : 21.8%
표현력, 논리력 : 13.2%
회사적합도(관심,열정) : 9.5%
창의력 : 8%
패기/도전정신 : 6%
협동심 : 5.5%
출신대 : 2.5%
외국어 : 2%
취업을 위한 나의 준비(상/중/하)
1.취업목적이 확실한가
2.장래 자신의 Lift Plan.
3.자기 나름의 직업관
4.대학생활 자부심
5.전공관련 직업
6.컴퓨터 활용능력
7.자신있는 외국어
8.자신의 장단점 파악
9.이력서 작성경험
10.희망업계/기업 분명한지
11.기업에서 하고픈일
12.정보매체 접하는 유무
13.업계.기업에 관한 책
14.취업노트 만들었니?
15.체력증진에 관심(규칙적인 운동 및 동호회활동)
16.규칙적인 생활
17.정보수집 방법 제대로 알고 있나?
18.직무적성검사의 내용을 이해.
19.면접시 질문에대한 이해
20.선배로부터 취업 체험담(사전 정보/ 취업성공기)
21.취업담당부서 이용 경험
자기탐색
홈쇼핑을 이용한 자기 광고하기
본인을 홈쇼핑에 소개한다고 생각하고 작성...
1.아직 나는 많이 모릅니다.
2.아직은 빛나지도 않습니다.
3.그러나 내면에 큰 꿈과 잠재력을 갖고있습니다.
4.하고싶은 것만 정해지고 계획하면 무엇이든 해낼수 있습니다.
5.많은지식, 자격증은 없지만, 몸으로 하는 일이라면 누구보다 잘할 수 있습니다.
6.자신의 보석을 찾아 끊임없이 노력하느 "커리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