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body>
<h1>함수 실습1</h1>
두수를 입력받아 큰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br>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MaxNum(first,second)
{
var maxnum;
if(first>=second)
{
maxnum=first;
}
else
{
maxnum=second;
}
return maxnum;
}
var a = parseInt(prompt("첫번째 값"));
var b = parseInt(prompt("두번째 값"));
document.write(a+", "+b+" 두수중 큰값은 : "+MaxNum(a,b));
</script>
<br>
<hr>
<h1>함수 실습2</h1>
두수를 입력받아 두수사이의 3의 배수 갯수 출력하는 프로그램<br>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TriAmon(first,second)
{
var result=0;
if(first>second)
{
var temp=first;
first = second;
second = temp;
}
//first+1 : 6,12 사이라고 했으니, 포함안되야 하므로 앞수+1,
for(i=first+1;i<second;i++)
{
if(i%3==0)
result++;
}
return result;
}
var c = prompt("첫번째 값");
var d = prompt("두번째 값");
document.write(c+", "+d+" 두수 사이의 3의 배수 갯수는 : "+TriAmon(c,d));
</script>
<br>
<hr>
<h1>함수 실습3</h1>
출생년도를 입력받아 띠를 출력하는 프로그램<br>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YearGod(years)
{
var result;
/*
참조:네이버 12지신 검색
자시(子)(23 - 01시) : 쥐가 제일 열심히 뛰어 다니는 때
축시(丑)(01 - 03시) : 밤새 풀을 먹은 소가 한참 반추하며 아침 밭갈이 준비를 할 때
인시(寅)(03 - 05시) : 하루 중 호랑이가 제일 흉악한 때.
묘시(卯)(05 - 07시) : 해뜨기 직전에 달이 아직 중천에 걸려 있어 그 속에 옥토끼가 보이는때
진시(辰)(07 - 09시) : 용들이 날면서 강우 준비를 하는 때.
사시(巳)(09 - 11시) : 이 시간에 뱀은 자고 있어 사람을 해치는 일이 없는 때.
오시(午)(11 - 13시) : 이 시간에는 고조에 달했던 ‘양기’가 점점 기세를 죽이며 ‘음기’ 가 머리를
들기 시작하는데, 말은 땅에서 달리고 땅은 ‘음기’이므로 말을 ‘음기’의 동
물로 보고 이 시각을 말과 연계시킨다.
미시(未)(13 - 15시) : 양이 이때 풀을 뜯어먹어야 풀이 재생하는데 해가 없다
신시(申)(15 - 17시) : 이 시간에 원숭이가 울음소리를 제일 많이 낸다.
유시(酉)(17 - 19시) : 하루 종일 모이를 쫓던 닭들이 둥지에 들어가는 때
술시(戌)(19 - 21시) : 날이 어두워지니 개들이 집을 지키기 시작하는 때
해시(亥)(21 - 23시) : 이 시간에 돼지가 가장 단잠을 자고 있는 시간이다.
*/
var god12 = new Array("원숭이","닭","개","돼지","쥐","소","호랑이","토끼","용","뱀","말","양");
//document.write("뱀은 : "+eval(1977%12)+"띠는 : " + god12[eval(1977%12)]); // 테스트용. 1977은 뱀띠.
result = god12[eval(years%12)];
return result;
}
var basetrue=true;
var e;
while(basetrue)
{
e = prompt("출생년도는?","이곳에 년도(숫자)를 넣으세요");
//prompt 취소시 : 0반환 - -.
if(e>=0 && e<=99999999)
basetrue=false;
else
basetrue=true;
}
if(e!=0)
document.write("<br>당신의 띠는 : "+YearGod(e));
</script>
</body>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