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 집계함수
- 문자/숫자/날짜 함수
- 형변환함수(to_char/number/date)

- 명시적 함수
- 묵시적 함수
---
*.문자함수
instr('대상문자열',찾는문자,시작위치,몇번째것을 찾을건지);
substr('대상문자열',시작위치,length);

*.숫자함수
- round : 반올림 : round(123.17,1) -> 123.2
소수점 반올림수 : 순간해놓으면 나중에 아차하는.
3__6__2_._7_1_2;
-3_-2_-1__0 1 2
- trunc : 절삭 : trunc(123.17, 1) -> 123.1
select round(362.712,-2), round(362.712,0), round(362.712), round(362.712,1)
from dual

ROUND(362.712,-2) ROUND(362.712,0) ROUND(362.712) ROUND(362.712,1)
----------------- ---------------- -------------- ----------------
              400              363            363            362.7

- mod : 나머지값 : mod(12,10) -> 2
- ceil : 지정한 값보다 큰수중 가장작은정수 : ceil(123.17) -> 124
- floor : 지정한 값보다 작은수중 가장큰정수 : floor(123.17) -> 123
select ceil(123.17), floor(123.17), ceil(-123.17), floor(-123.17), mod(12,10)
from dual

CEIL(123.17) FLOOR(123.17) CEIL(-123.17) FLOOR(-123.17) MOD(12,10)
------------ ------------- ------------- -------------- ----------
         124           123          -123           -124          2

- sign : 기호를 반환. 양수이면 1, 0이면 0, 음수이면 -1..

SQL> select sign(10), sign(0), sign(-10)
  2  from dual;

  SIGN(10)    SIGN(0)  SIGN(-10)
---------- ---------- ----------
         1          0         -1

*.데이터 타입의 변환
to_char(날짜, 날짜시간format')
to_char(숫자, 'formaht

select ename, sal, to_char(round(sal/13, 1),'999.9') as monthSal
from emp
order by sal asc
ENAME             SAL MONTHS
---------- ---------- ------
SMITH             800   61.5
....
MARTIN           1250   96.2
MILLER           1300  100.0

to_date(' ', '날짜시간format') : 문자를 date형으로 변환.


=========================
1.자신의 생년월일을  년도4자리-월영문축약-일두자리 출력
select to_char(to_date('2079329','yyyymmdd'), 'yyyy-mon-dd') from dual
2.November27을 11월 27일로 출력
select to_char(to_date('November27','monthdd'), 'yy"월" dd"일"') from dual


select to_number('10') from dual


-- 20번 부서사원명, 부서번호 조회
select ename, deptno
from emp
where deptno=to_number('20')

Posted by 말없제이
,
Posted by 말없제이
,
 
저작권은 FUJIPACIFIC MUSIC INC,AMUSE INC에게 있습니다.
음원으로 이윤창출하지 아니하고, 파일로 받을수 없습니다.
얼큰한 목소리가 듣고싶을때만 듣겠습니다.





桑田佳祐 - 明日晴れるかな (KUWATA KEISUKE/Ashitawa Harerukana)

熱(あつ)い涙(なみだ)や 恋(こい)の叫(さけ)びも
뜨거운 눈물과 사랑의 외침도

輝(かがや)ける日(ひ)は どこへ消(き)えたの
빛나던 날들은 어디로 사라진 걸까

遠(とお)い過去(かこ)より まだ見(み)ぬ人生(じんせい)は
먼 과거보다 아직 보지 못한 인생은

夢(ゆめ)ひとつ 叶(かな)えるためにある
꿈 하나를 이루기 위해 있는 것


奇跡(きせき)のドアを 開(あ)けるのは誰(だれ)
기적의 문을 여는 것은 누구인지


微笑(ほほえ)みを もう一度(いちど)だけ
미소를 다시 한 번만 더

君(きみ)は気付(きづ)くでしょうか
너는 깨닫고 있을런지


その鍵(かぎ)はもう 君(きみ)の掌(てのひら)の上(うえ)に
그 열쇠는 이미 너의 손 위에


Oh baby. No, maybe.

愛(あい)、失(な)くして 情(じょう)も無(な)い
사랑을 잃고 정도 사라지니

嘆(なげ)くような振(ふ)り
한탄하듯 지나침에

残(のこ)るのは 後悔(こうかい)だけ
남는 것은 그저 후회 뿐

Oh baby. Smile baby.

その命(いのち)は 永遠(とわ)じゃない
그 생명은 영원하지 않으나

誰(だれ)もがひとりひとり 胸(むね)の中(なか)で
누구나 한사람 한사람 가슴 속에서

そっと囁(ささや)いているよ
살며시 속삭이고 있는 걸

明日(あした)晴(は)れるかな
내일은 맑을런지

遥(はる)か空(そら)の下(した)
아득한 하늘 아래서

Posted by 말없제이
,

취업대화기법?

끄적이기 2009. 6. 25. 05:01

취업시 준비해야할 자세에 관하여 말해보겠습니다.

먼저 단계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a. 막연하게 취업을 준비하거나 무엇을 준비해야할지 모르겠는 것은 목표가 없기때문입니다.

우선은 스스로 어느 사업분야로 진출할 것인지를 정해야 할 것입니다. 여러분야가있고. 개개인의

관심분야가 있는 만큼 적성에 맞게 정하셔야 할것입니다. 만약 자신의 적성을 잘모르겠다.‘ 난

내가 뭘잘하는지 잘몰라.‘ 이런상태라면 여기서 그칠것이아니라 평소 자신의모습을 되뇌여 보아서

흥미있고 관심있게 할수있는 분야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터무니없게 게임. 뭐 이런거말구요

b. 두 번째로는 분야를 정했다면 그분야로 사업을 벌이고 있는 기업들을 살펴야 할것입니다. 목표로 삼을만한

기업과 현재상태에서 지원이 가능한 정도의 기업들..그기업들의 취업요강, 전문지식이나 기숙, 토익점수,

성적수준등을 준비하고 알아보면 무엇을 어찌 준비해야하고 나에게 부족한것이 무엇인지를 가늠할수

있게 됩니다. 공기업, 대기업의 경우에는 한번 지원해서 탈락하면 다시 기회가 없을수도 있으니 탄탄한

준비후에 도전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너무자주듣는 이야기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자주듣는 이야기인 만큼 중요한 이야기이니 다시한번 되뇌여 보시기 바랍니다. 자 위의두가지가 준비되셧다면 이제 수단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a. 방대하게 많은 취업 정보가 있지만 인터넷 망을 따라올것이 없습니다. 잡코리아, 인크루트, 노동부의 워크넷등등

취업에 대한 서비스를 하고있는 사이트 들을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남보다 느린 정보를 보고있다면 그만큼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 됩니다. 허나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므로 남들도 지금 나와

같은방법으로 지원하고 있다는것을 간과하여서는 안됩니다.

b. 공기업이나 대기업의 채용정보 및 인턴모집등의 광고는 위사이트들에 나오지않습니다. 이러한 광고를 구지 돈을

들여서 취업사이트들에 올릴 필요가 없는 기업들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광고는 해당기업의 홈페이지로만 광고를 하거나 뉴스매체, 신문등에 실릴만하기 때문에 해당홈페이지나 언제 나올찌 모르는 채용공고를

주목하고 있을 필요가 있습니다.

c. 구직활동중임을 널리 알립니다. 지인을 이용하는 방법은 좀..그렇긴하지만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학교선배,동기, 친구, 형제, 부모, 학연, 지연등등 주위 모든사람들을 총동원합니다. 현실적으로 무시못할

정보망이긴하지만... 낙하산이라는 오명을 피하기위해서는 자기자신의 실력을 어느정도 쌓아서

이방밥을 사용하는것을 적극 권해드립니다.

d. 마지막으로 발품입니다. 여전히 기동력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효율은 떨어지긴 하지만. 가장

적극적인 방법입니다. 이력서 지원서등을가지고 직접 방문해서 들이대는 것 이지요. 사전에 그기업에대해

어느정도 조사를 하여서 들이대면 적극적인 면과, 열정을 높이사서 좋게보는 경영자들도 많습니다.

이방법은 운에 맡기긴하지만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 없다하여도 채용하게 될찌 모르는 일이지요.

다만 이방법은 정보가 부족한 전문직.( 의상 디자이너..실내인테리어..예술분야등등) 들은 이런방법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제가 말한 위의 내용이 정석은 아니지만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하면 어느정도 기초를 가질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 신빙성있는 사이트들에서 조사한부분이기 때문에 참고하시고 졸업시 취업할 때 준비하시면 좋을것같습니다.

자 이제는 취업시 버려야할 자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 처럼 준비를 아셔도 버려야할 자세가 있습니다.

버려야 할자세는 스펙에 의존하는 것입니다.

--ppt 2번 참고.

이 자료를 보면 우리는 시장에서 상품을 평가하는 것과 조금도 다른것이 없습니다. 노동력이 상품인 이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렇게 취업 준비생들로 넘쳐나는 취업시장속에서 달라지는게 있을까요? 스펙을 쌓기위해 나름 열심히 사는 취업생이 많은데 나름바쁘게 산것자체가 문제입니다. 나름 바쁘게 준비하는 사람들은 상품성 없는 저질 스펙 보유자가 되어버리기 십상이거든요. 여기서 우리는 스펙보다는 상품성. 즉, 우리는 고용주가 원하는 능력을 갖추자 라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대기업, 금융권, 공무원 그런 사회적으로 인정 받는 직업들을 우리가 한번이라도 원한적이 있는지, 순전히 금전적으로 풍요롭게 살기위해 원하고있는건아닌지, 그리하여 타인이보기에 우리의 상품성은 Q 마크를찍어줄 만한 사람으로 스펙을 만들어가는것이 좋은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하고싶은일 , 진정으로 욕망하는 일을 찾기시작하고 제자신을 돌아보기 시작하면, 물론 주변에서 만류도 있고 힘든과정도 있겠지만, 그과정에서 적어도 어느 회사든지간에 ‘제 스펙을 평가해주세요, 제스펙으로 어디를 지원하면 될까요’ 라고 하는 물음이나 면접시에 꾸며진 모습, 너무나 정석인 대답을 하기보다는 ‘나’ 를 훨신 어필할수 있을꺼라고 생각합니다.

Posted by 말없제이
,
클래스 일반정보
(상속,접근제어,오버라이딩,this.super)

Posted by 말없제이
,
********  Template.jsp *********************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table width="640" border="1">
<tr>
 <td>
  <jsp:include flush="true" page="/ch05/module/Top.jsp"></jsp:include>
 </td>
</tr>
<tr>
 <td height="400">
   <jsp:include flush="true" page="/ch05/module/Main.jsp"></jsp:include>
 </td>
</tr>
<tr>
 <td>
   <jsp:include flush="true" page="/ch05/module/Bottom.jsp"></jsp:include>
 </td>
</tr>
</table>
</body>
</html>



*******   module/Bottom.jsp ***********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Bottom.jsp   
    -->
    하단의 영역
     <img src="<%=request.getContextPath() %>/ch05/images/bottom.jpg">




**********    module/ Main.jsp      ***********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Main.jsp
    -->
    컨텐츠 영역
     <img src="<%=request.getContextPath() %>/ch05/images/contents.jpg">



***********  Module/Top.jsp   ***********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Top.jsp
 -->
 상단의 영역
 <img src="<%=request.getContextPath() %>/ch05/images/top.jpg">


******   sports/Template.jsp   *******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bgcolor="black">
<!--
1.웹로드 자원은 풀패스를 기술..
2.include내에서는 풀패스 불필요.
-->
<table width="640" border="1" bgcolor="white">
<tr>
 <td >
  <jsp:include flush="true" page="/ch05/module/Top.jsp"></jsp:include>
 </td>
</tr>
<tr>
 <td height="400">
   <jsp:include flush="true" page="/ch05/module/Main.jsp"></jsp:include>
 </td>
</tr>
<tr>
 <td>
   <jsp:include flush="true" page="/ch05/module/Bottom.jsp"></jsp:include>
 </td>
</tr>
</table>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

public class : 사용자에 따라 계속바뀜.
session : 사용자 별도로 계속 유지됨
application : 계속바뀜.

******* src/MemberBean.java *******
package ch04;

public class MemberBean
{
 public static String id;
 public static String name;
}


***********   Ch0401.jsp    ************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IP주소 : <%=request.getRemoteAddr() %>
getContextPath() : <%=request.getContextPath() %>
</body>
</html>


*************    Ch0402.jsp     *****************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Ch0402.jsp
-->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form action="Ch0402pro.jsp">
id : <input type="text" name="id"><p>
name : <input type="text" name="name"><p>
email : <input type="text" name="email"><p>
<input type="submit">
</form>
</body>
</html>



*************      Ch0402pro.jsp     ************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Ch0402pro.jsp
--><!--
src영역의 ch04패키지 참조
--><%@ page import="ch04.*" %>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
 request.setCharacterEncoding("euc-kr");
/*
 MemberBean.id=request.getParameter("id");
 MemberBean.name=request.getParameter("name");
*/
session.setAttribute("id",request.getParameter("id"));
session.setAttribute("name",request.getParameter("name"));
//application.setAttribute("email",request.getParameter("email"));

//만약 처음으로 방문한 상태라면 appliction영역에는 count요소가 없다면.
if(application.getAttribute("count")==null)
{
 application.setAttribute("counts",new Integer(1));
}
else
{
 int count = (Integer)(application.getAttribute("counts"))+1;
 application.setAttribute("count", new Integer(count));
}
%>
<script>
location="Ch0403.jsp";
</script>
</body>
</html>



************   Ch0403.jsp       ***************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Ch0403.jsp
-->
<%@ page import="ch04.*" %>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 보이지는 않으나 구동은 됨.
di : <%= MemberBean.id %><p>
name : <%= MemberBean.name %><p>
-->
id : <%=session.getAttribute("id") %><p>
name : <%=session.getAttribute("name") %><p>
email : <%=application.getAttribute("email") %><p>
접속수 : <%=application.getAttribute("count") %>
<a href="Ch0404.jsp">소멸</a>
</body>
</html>




***************      Ch0404.jsp       *****************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
JSP의 내장개체 영역 :
page 영역 :
request 영역 :
session 영역 :
application 영역 :
네가지다 추가시 setAttribute(), 제거시 removeAttribute(),
참조시 getAttribute()를 지원
-->
<%
session.removeAttribute("id");
session.removeAttribute("name");
%>

id : <%=session.getAttribute("id") %><p>
name : <%=session.getAttribute("name") %><p>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

*.함수
함수명(~)

SQL> -- 업무별 최고급여,최저급여,총급여,평균급여, 인원수 조회
SQL> select job, max(sal), min(sal), sum(sal), avg(sal), count(*)
  1  from emp
  2  group by job
  3  ;
SQL> /

JOB         MAX(SAL)   MIN(SAL)   SUM(SAL)   AVG(SAL)   COUNT(*)
--------- ---------- ---------- ---------- ---------- ----------
ANALYST         3000       3000       6000       3000          2
CLERK           1300        800       4150     1037.5          4
MANAGER         2975       2450       8275 2758.33333          3
PRESIDENT       5000       5000       5000       5000          1
SALESMAN        1600       1250       5600       1400          4

*.group by ~ havaing ~ ... : 그룹별로 구분
select ~
from ~
[where 조건]
[group by 기준]
[having 그룹조건]
[order by 정렬]

SQL> --급여가 3000이상되는 사원에 한해
SQL> --업무별 최고급여가 2000 초과하는...
SQL> edit
1  select job, max(sal), min(sal), sum(sal), avg(sal), count(*)
2  from emp
3  group by job
4* having max(sal)>2000
L> /

B         MAX(SAL)   MIN(SAL)   SUM(SAL)   AVG(SAL)   COUNT(*)
------- ---------- ---------- ---------- ---------- ----------
ALYST         3000       3000       6000       3000          2
NAGER         2975       2450       8275 2758.33333          3
ESIDENT       5000       5000       5000       5000          1

ex)
select deptno, max(sal), min(sal), (max(sal)-min(sal)) as cap
from emp
--where deptno in (20,30)
group by deptno
having min(sal)>2500 and deptno in (20,30)
/

*.문자함수
trim( ) : 공백 제거
Rtrim('~','A') : 오른쪽으로 잘라버림
Ltrim('~','A') : 왼쪽으로 잘라버림
ex)

  1  select rtrim('과학수사과','과'), ltrim('과학수사과','과'), trim('    ab     ')
  2* from dual
  3  ;

RTRIM('  LTRIM('  TR
-------- -------- --
과학수사 학수사과 ab


Rpad('~',20,'#') : ~부분 오른쪽을 ~포함 20자리로 만들고 부족한 부분은 '#'으로 채워넣음.
Lpad('~',20,'#') : ~부분 왼쪽을 ~포함 20자리로 만들고 부족한 부분은 '#'으로 채워넣음.
ex)

L> select rpad('www',10,'*'), lpad('www',10,'*')
2  from dual
3  ;

AD('WWW' LPAD('WWW'
-------- ----------
w******* *******www

length() : 문자열 길이 구하는 함수
lengthb() : 문자열을 비트로 구하는 함수
  1  select length('oracle'), length('오라클')
  2* from dual
  3  ;

LENGTH('ORACLE') LENGTH('오라클')
---------------- ----------------
               6                3

SQL>

instr(문자열, '특정문자', 시작위치, 번째) -> position
 
SQL> select instr('ORCLE','LE')
  2  from dual
  3  ;

INSTR('ORCLE','LE')
-------------------
                  4

--사원이름에 L이 포함되는 사원에 한해.
--사원이름에 L이 몇번째 위하는 지 출력.

  1  select ename, instr(ename, 'L')
  2  from emp
  3* where instr(ename, 'L') > 0
SQL> ;
SQL> /

ENAME      INSTR(ENAME,'L')
---------- ----------------
ALLEN                     2
BLAKE                     2
CLARK                     2
MILLER                    3


str(문자열, 시작위치, length) -> 문자열 형태로 리턴.
 
  1  select substr('oh~happy!day', 4,3), substr('oh~happy!day', -4,3)
  2* from dual
  3 
SQL> /

SUB SUB
--- ---
hap !da

-. 80년 11월 23일 표시
  1  select substr('801123-1234567',1,2)||'년 '
  2  ||substr('801123-1234567',3,2)||'월 '
  3  ||substr('801123-1234567',5,2)||'일'
  4* from dual
SQL> /

SUBSTR('801123
--------------
80년 11월 23일


전화번호 02)112-3444 중간번호 추출
select substr
(
'031)2222-1111',instr('031)2222-1111',')')+1,
 (
 instr('031)2222-1111','-') - (instr('031)2222-1111',')')+1)
 )
) as '지역번호'
from dual

Posted by 말없제이
,

package ch19;

import java.io.*;

public class Ch191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는 입력스트림중 Reader클래스의
  //하위클래스개체를 생성자에 지정할 수 있다.
  //콘솔일경우.  
  //BufferedReader in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파일일경우
  BufferedReader in = new BufferedReader(new FileReader
    (
     "D:\\study\\java\\Project\\sample\\src\\ch19\\Ch1906.java"
    )
  );
 
  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
  String line="";
  //스트링의 경우 null이 스트링의 개행으로 간주.
  while((line=in.readLine())!=null)
  {
   sb.append(line+"\n");
  }
  System.out.println(sb);
  in.close();
 
//  콘솔일경우.  
  //BufferedWriter out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파일일경우
  BufferedWriter out = new BufferedWriter(new FileWriter
    (
     "D:\\study\\java\\Project\\sample\\src\\ch19\\Output.java"
    )
  );
  out.write(sb.toString());
  out.close();
 
 }
}

Posted by 말없제이
,

package ch19;

import java.io.*;

public class Ch1909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버퍼의 사용목적 : 입출력 장치의 잦은 엑세스를 줄이고자
  //버퍼를 사용하여 성능향상을 도모한다.
  //BufferedInputStream은 InputStream의 하위 클래스에
  //언제든지 전부 결합하여 적용이 가능.
  //ButteredInputStream in = new BufferedInputStream(System.in);
  BufferedInputStream in = new BufferedInputStream(new FileInputStream(
   "D:\\study\\java\\Project\\sample\\src\\ch19\\Ch1906.java"));
  int ch;
  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
  while ((ch=in.read())!=-1)
  {
   sb.append((char)ch);
  }
  in.close();
  System.out.println(sb.toString());
 
  //BufferedOutputStream out = new BufferedOutputStream(System.out);
  BufferedOutputStream out = new BufferedOutputStream
  (
   new FileOutputStream
   (
    "D:\\study\\java\\Project\\sample\\src\\ch19\\Output.java"
   )
  );
 
  for(int i=0;i<sb.length();i++)
  {
   ch = sb.charAt(i);
   out.write(ch);
  }
  out.close();
 
 }
}

Posted by 말없제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