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head>

</head>
<body>
<ul><h2>내장객체-3</h2>
<li>screen 객체 : 화면 해상도/색상/크기 정보제공. 이미선언되어있어 사용가능.
<ul>
<li>height : 전체 화면의 높이
<li>width : 전체 화면의 넓이
<li>availHeight : 하단 작업표시줄 제외한 실제화면 높이.
<li>availWidth : 하단 작업표시줄 제외한 실제화면 넓이.
<li>pixelDepth : 픽셀당 비트수(넷스케이브에서 지원)
<li>colorDepth : 사용가능한 색상수.
<br>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screen.width+screen.height :"+screen.width+"*"+screen.height);
</script>
</ul>
</ul>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

<html>
<head>

</head>
<body>
<ul><h2>내장객체-3</h2>
<li>Math 객체
<ul>
<xmp>
[객체 생성]
- 별도로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객체이름을 이용하여 직접 접근
 Math.메소드();
</xmp>
<br>
<ul>속성
<li>E : 오일러 상수 값
<li>PI : 원주율
<li>LN10 : 밑수가 10인 상용로그값
<li>LN2 : 밑수가 2인 상용로그값
<li>SQRT2 : 2의 제곱근 값
<li>SQRT1_2 : 0.5의 제곱근 값
</ul>
<br>
<ul>메소드
<li>round(x) : x의 반올림.
<li>floor(x) : x보다 작거나 같은 수중 가장 큰 정수 값
<li>ceil(x) : x보다 크거나 같은수중 가장 작은 정수값.
<li>max(x,y) : x,y중 큰값.
<li>min(x,y) : x,y중 작은값.
<li>random() : 0에서부터 1사이의 난수 발생.<br>
<li>sin(x)/cos(x)/tan(x) : x의 sine/cosine/tangent 값
<li>abs(x) : x의 절대값
<li>exp(x)/log(x) : 지수 함수/로그 함수
<li>pow(x,y) : x의 y승 구함
<li>sqrt(x) : 제곱근
<br>
1에서 100사이의 난수 발생<br>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Math.floor(Math.random()*100)<br>"+Math.floor(Math.random()*100));
</script>

</ul>
</ul>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

<html>
<head>

</head>
<body>
<ul><h2>내장객체-2</h2>
<li>String 객체 : 문자열을 다루는 객첵
<ul>
<xmp>
[객체 생성]
객체변수 = new String(문자열);
객체변수 = 문자열;
</xmp>
var str = new String("Good job");<br>
document.write("문자열 길이 : "+str.length);
<br>
<script type="text/jscript">
var str = new String("Good job");
document.write("문자열 길이 : "+str.length);
</script>
<li>bold : 글자를 굵게 지정<br>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document.write(str.blod());<br>"+str.bold());
</script>
<li> .... 있음.
<li>charAt(인덱스) : 지정한 인덱스 값의 문자 가져옴
<br>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document.write(str.charAt(5));<br>"+str.charAt(5));
</script>
<li>indexOf("문자열") : 앞에서부터 주어진 문자열 검색
<li>lastIndexOf("문자열") : 뒤에서부터 주어진 문자열 검색
<br>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document.write(str.indexOf(\"Jo\");<br>"+str.indexOf("Jo"));
document.write("<br>document.write(str.lastIndexOf(\"o\"));<br>"+str.lastIndexOf("o"));
</script>
<li>big()/small() : 글자 한단계 크게 지정/작게 지정
<li>blod : 글자 굵게 지정
<li>italics : 이태릭체지정
<li>strike() : 글자의 가운데 취소선 그어줌.
<li>sub()/sup() : 글자의 아래첨자/윗첨자 지정
<li>fontcolor("색상")/fontsize(크기) : 글자의 색상/크기 지정.
<li>toLowerCase()/toUpperCase() : 소문자/대문자 변경
<li>anchor("#위치표시문자") : <a name="#위치표시문자">동일효과.
<li>link("링크할 위치") : <a href="링크위치">동일효과<br>
<li>charAt(인덱스) : 지정한값의 문자 가져옴.
<li>indexOf("문자열")/lastIndexOf("문자열") : 앞/뒤에서 문자열 검색한 인덱스값 출력.
<li>substring(인덱스1,인덱스2) : 인덱스1에서부터 인덱스2전까지 문자열 출력
<li>slice(인덱스1,인덱스2) : 인덱스1에서부터 인덱스2전까지 문자열 분리,
<br> 종료인덱스 음수이면 뒤에서부터 계산
<li>substr(인덱스,길이) : 인덱스로부터 길이만큼 문자열 추출
<li>charCodeAt(인덱스) : 인덱스 해당하는 ASCII문자 출력
<li>concat("문자열") : 두개의 문자열을 연결
<li>split("분리문자",개수) : 분리문자 지정한 갯수만 큼 분리.

</ul>
</ul>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

<html>
<head>

</head>
<body>
<ul><h2>내장객체</h2>
<li>Date객체 : 날짜와 시간을 알려줌.
<ul>
<xmp>
[객체생성]
객체변수 = new Date();
객체변수 = new Date(년,월,일);
객체변수 = new Date(년,월,일,시,분,초);
</xmp>
<li>getYear()/setYear() : 객체의 년도를 구함/설정
<li>getMonth()/setMonth() : 객체의 월을 구함/설정(1월->0, 2월->1)
<li>getDate()/setDate() : 객체의 일을 구함/설정
<li>getDay()/setDay() : 객체의 요일을 구함/설정(일요일->0)
<li>getTime()/setTime() : 1970년이후 경과된 시간을 1/1000초 단위로 구함/설정
<li>getHours()/setHours() : 객체의 시간을 구함/설정
<li>getMinutes()/setMinutes() : 객체의 분을 구함/설정
<li>getSecond()/setSecond() : 객체의 초를 구함/설정
<li>toGMTString() : 시간을 GMT기준 날짜형식으로 변경.
<li>toLocaleString() : '년 월 일 요일 오전/오후 시 분 초'형태변경.
<li>toString() : '요일 월 일 시:분:초 연도"형태 변경
</ul>
<xmp>
<script type="text/jscript">
var today = new Date();
document.write("년도 : "+today.getYear());
document.write(", 월 : "+today.getMonth());
document.write(", 일 : "+today.getDay());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var today = new Date();
document.write("년도 : "+today.getYear());
document.write(", 월 : "+today.getMonth());
document.write(", 일 : "+today.getDay());
</script>
<br><br>
<li>Array객체 : 동일한 타입의 기억공간을 연속적으로 확보.
<br>
<xmp>
<script type="text/jscript">
var arr1 = ["한강","영산강","낙동강","금강"];
var su = [4,7,2,3,8,1];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var arr1 = ["한강","영산강","낙동강","금강"];
var su = [4,7,2,3,8,1];
</script>
<ul>
<li>join : 배열 요소들을 결합문자로 연결, 결합문자는 ","표시
<xmp>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join());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join());
</script>
<xmp>결합문자 지정도 가능.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join("★"));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join("★"));
</script>
<li>sort : 배열 요소의 크기순으로 정렬
<br>
<xmp>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su.sort());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su.sort());
</script>
<xmp>정방향 옵션에 임의의 decision 함수 넣어서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decision(a,b)
{
if(a>b)
 return 1;
else
 return -1;
}
document.write(su.sort(decision));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decision(a,b)
{
if(a>b)
 return 1;
else
 return -1;
}
document.write(su.sort(decision));
</script>
<br>
<xmp> a,b를 바꾸면... 역순.
if(a>b)
 return -1;
else
 return 1;
</xmp>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decision(a,b)
{
if(a>b)
 return -1;
else
 return 1;
}
document.write(su.sort(decision));
</script>
<li>reverse : 배열의 요소를 거꾸로 바꿈.
<br>arr1.reverse()<br>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reverse());
</script>
<li>concat(배열명) : 두개의 배열을 하나로 합침.
<br>arr1.concat(su);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concat(su));
</script>
<li>slice(시작위치,종료위치) : 배열의 요소중 시작위치부터 종료위치까지 분리해 새로운배열 저장
<br>arr1.slice(2,4);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slice(2,4));
</script>
</ul>
</ul>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

<html>
<head>

</head>
<body>
<ul><h2>객체</h2>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print()
{
 document.write("<br> cpu = "+this.cpu+", ram = "+this.ram+", hdd = "+this.hdd);
}
//Computer 개체생성
function Computer(cpu,ram,hdd)
{
 //thisp : 멤버필드
 this.cpu = cpu;
 this.ram = ram;
 this.hdd = hdd;

 //this.infoWrite : 메소드 이름
 this.infoWrite = print;
}
myComputer = new Computer("펜티엄4","1Giga","100Giga");
document.write("<br> cpu = "+myComputer.cpu);
document.write("<br> ram = "+myComputer.ram);
document.write("<br> hdd = "+myComputer.hdd);

myComputer.infoWrite();

yourComputer = new Computer("펜티엄","2Giga","400Giga");
yourComputer.infoWrite();
</script>
</ul>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

<html>
<head>

</head>
<body>
<h1>함수이용</h1>
<ul><h2>내장함수</h2>
<li>alert : 메세지 대화상자 나타내는 함수
<li>confirm : 확인(true반환)/취소(false반환) 버튼있는 대화상자 함수
<li>prompt : 대화상자를 통해 입력받음. ex)prompt("대화상자","기본값");
<li>eval : 수식형태로된 문자열을 숫자로 계산, 문자는 생략됨.
<li>parseInt : 문자열을 정수로 바꿔주는 함수<br>
 ex)parseInt(13.5) -> 13반환, parseInt("101",2) -> 5(이진법->10진법) 반환, parseInt("A") -> NaN 반환
<li>parseFloat : 문자열을 실수로 바꿔주는 함수. ex)parseFloat("10.33") -> 10.33
<li>isNaN : 주어진값이 순수한 문자인지 아닌지 판단함수.<br> isNaN("abc")->true, isNaN("12ab")->true, isNaN("12")->false
<li>escape : ISO-Latin-1 문자셋을 ASCII값출력(특수문자 변환에 사용) ex)escape("?") -> %3F
<li>unescape : escape 반대.. ex)unescape("%3F") -> ?

<br>
<h3>eval 사용예제</h3>
<script type="text/jscript">
var k=eval("23-12+45");
document.write("var k=eval(\"23-12+45\"); "+"k = "+k);

//eval 내용은 안보임
document.write("<br>result = 10*12 "+eval("result = 10*12"));
</script>
<br>
<h3>parseInt 사용예제</h3>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1025.5\" : "+parseInt("1025.5"));
document.write("<br>\"1025.5\",16 : "+parseInt("1025.5",16));
document.write("<br>\"A\" : "+parseInt("A"));
</script>
</ul>
<br>
<ul><h2>사용자 정의 함수</h2>
<li>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함수로 구현하여 제작할수 있도록 한 함수
<li>함수가 호출되기전에 호출되어야 하므로 대체로 <head> 영역에 기술
<xmp>
[함수정의]
function 함수명([매개변수1], ...)
{
 실행할 명령...
 [return 값]
}
</xmp>
<br>ex) 삼각형 구하기.
<xmp>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tri(fb,fh)
{
 var farea = fb*fh/2;
 return farea;
}

var b = parseInt(prompt("삼각형 밑변은 ?",""));
var h = parseInt(prompt("삼각형 높이은 ?",""));
var area = tri(b,h);
document.write("삼각형 면적은 = "+area);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tri(fb,fh)
{
 var farea = fb*fh/2;
 return farea;
}

var b = parseInt(prompt("삼각형 밑변은 ?",""));
var h = parseInt(prompt("삼각형 높이은 ?",""));
var area = tri(b,h);
document.write("삼각형 면적은 = "+area);
</script>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

<html>
<body>
<h1>함수 실습1</h1>
두수를 입력받아 큰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br>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MaxNum(first,second)
{
 var maxnum;
 if(first>=second)
 {
  maxnum=first;
 }
 else
 {
  maxnum=second;
 }
 return maxnum;
}
var a = parseInt(prompt("첫번째 값"));
var b = parseInt(prompt("두번째 값"));
document.write(a+", "+b+" 두수중 큰값은 : "+MaxNum(a,b));
</script>
<br>
<hr>
<h1>함수 실습2</h1>
두수를 입력받아 두수사이의 3의 배수 갯수 출력하는 프로그램<br>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TriAmon(first,second)
{
 var result=0;
 if(first>second)
 {
  var temp=first;
  first = second;
  second = temp;
 }
 
//first+1 : 6,12 사이라고 했으니, 포함안되야 하므로 앞수+1,
 for(i=first+1;i<second;i++)
 {
  if(i%3==0)
  result++;
 }

 return result;
}
var c = prompt("첫번째 값");
var d = prompt("두번째 값");
document.write(c+", "+d+" 두수 사이의 3의 배수 갯수는 : "+TriAmon(c,d));
</script>
<br>
<hr>
<h1>함수 실습3</h1>
출생년도를 입력받아 띠를 출력하는 프로그램<br>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YearGod(years)
{
 var result;
/*
참조:네이버 12지신 검색
자시(子)(23 - 01시) : 쥐가 제일 열심히 뛰어 다니는 때
축시(丑)(01 - 03시) : 밤새 풀을 먹은 소가 한참 반추하며 아침 밭갈이 준비를 할 때
인시(寅)(03 - 05시) : 하루 중 호랑이가 제일 흉악한 때.
묘시(卯)(05 - 07시) : 해뜨기 직전에 달이 아직 중천에 걸려 있어 그 속에 옥토끼가 보이는때
진시(辰)(07 - 09시) : 용들이 날면서 강우 준비를 하는 때.
사시(巳)(09 - 11시) : 이 시간에 뱀은 자고 있어 사람을 해치는 일이 없는 때.
오시(午)(11 - 13시) : 이 시간에는 고조에 달했던 ‘양기’가 점점 기세를 죽이며 ‘음기’ 가 머리를
들기 시작하는데, 말은 땅에서 달리고 땅은 ‘음기’이므로 말을 ‘음기’의 동
물로 보고 이 시각을 말과 연계시킨다.
미시(未)(13 - 15시) : 양이 이때 풀을 뜯어먹어야 풀이 재생하는데 해가 없다
신시(申)(15 - 17시) : 이 시간에 원숭이가 울음소리를 제일 많이 낸다.
유시(酉)(17 - 19시) : 하루 종일 모이를 쫓던 닭들이 둥지에 들어가는 때
술시(戌)(19 - 21시) : 날이 어두워지니 개들이 집을 지키기 시작하는 때
해시(亥)(21 - 23시) : 이 시간에 돼지가 가장 단잠을 자고 있는 시간이다.
*/
var god12 = new Array("원숭이","닭","개","돼지","쥐","소","호랑이","토끼","용","뱀","말","양");
//document.write("뱀은 : "+eval(1977%12)+"띠는 : " + god12[eval(1977%12)]); // 테스트용. 1977은 뱀띠.
 result = god12[eval(years%12)];
 return result;
}
var basetrue=true;
var e;
while(basetrue)
{
e = prompt("출생년도는?","이곳에 년도(숫자)를 넣으세요");
//prompt 취소시 : 0반환 - -.
if(e>=0 && e<=99999999)
 basetrue=false;
else
 basetrue=true;
}
if(e!=0)
document.write("<br>당신의 띠는 : "+YearGod(e));
</script>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

<html>
<head>

</head>
<body>
<ul><h2>내장객체</h2>
<li>Date객체 : 날짜와 시간을 알려줌.
<ul>
<li>.. 참조..
</ul>
<xmp>
<script type="text/jscript">
var today = new Date();
document.write("년도 : "+today.getYear());
document.write(", 월 : "+today.getMonth());
document.write(", 일 : "+today.getDay());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var today = new Date();
document.write("년도 : "+today.getYear());
document.write(", 월 : "+today.getMonth());
document.write(", 일 : "+today.getDay());
</script>
<br><br>
<li>Array객체 : 동일한 타입의 기억공간을 연속적으로 확보.
<br>
<xmp>
<script type="text/jscript">
var arr1 = ["한강","영산강","낙동강","금강"];
var su = [4,7,2,3,8,1];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var arr1 = ["한강","영산강","낙동강","금강"];
var su = [4,7,2,3,8,1];
</script>
<ul>
<li>join : 배열 요소들을 결합문자로 연결, 결합문자는 ","표시
<xmp>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join());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join());
</script>
<xmp>결합문자 지정도 가능.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join("★"));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join("★"));
</script>
<li>sort : 배열 요소의 크기순으로 정렬
<br>
<xmp>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su.sort());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su.sort());
</script>
<xmp>정방향 옵션에 임의의 decision 함수 넣어서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decision(a,b)
{
if(a>b)
 return 1;
else
 return -1;
}
document.write(su.sort(decision));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decision(a,b)
{
if(a>b)
 return 1;
else
 return -1;
}
document.write(su.sort(decision));
</script>
<br>
<xmp> a,b를 바꾸면... 역순.
if(a>b)
 return -1;
else
 return 1;
</xmp>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decision(a,b)
{
if(a>b)
 return -1;
else
 return 1;
}
document.write(su.sort(decision));
</script>
<li>reverse : 배열의 요소를 거꾸로 바꿈.
<br>arr1.reverse()<br>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reverse());
</script>
<li>concat(배열명) : 두개의 배열을 하나로 합침.
<br>arr1.concat(su);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concat(su));
</script>
<li>slice(시작위치,종료위치) : 배열의 요소중 시작위치부터 종료위치까지 분리해 새로운배열 저장
<br>arr1.slice(2,4);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arr1.slice(2,4));
</script>
</ul>
</ul>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

<html>
<head>

</head>
<body>
<ul><h2>객체</h2>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print()
{
 document.write("<br> cpu = "+this.cpu+", ram = "+this.ram+", hdd = "+this.hdd);
}
//Computer 개체생성
function Computer(cpu,ram,hdd)
{
 //thisp : 멤버필드
 this.cpu = cpu;
 this.ram = ram;
 this.hdd = hdd;

 //this.infoWrite : 메소드 이름
 this.infoWrite = print;
}
myComputer = new Computer("펜티엄4","1Giga","100Giga");
document.write("<br> cpu = "+myComputer.cpu);
document.write("<br> ram = "+myComputer.ram);
document.write("<br> hdd = "+myComputer.hdd);

myComputer.infoWrite();

yourComputer = new Computer("펜티엄","2Giga","400Giga");
yourComputer.infoWrite();
</script>
</ul>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

<html>
<head>

</head>
<body>
<h1>함수이용</h1>
<ul><h2>내장함수</h2>
<li>alert : 메세지 대화상자 나타내는 함수
<li>confirm : 확인(true반환)/취소(false반환) 버튼있는 대화상자 함수
<li>prompt : 대화상자를 통해 입력받음. ex)prompt("대화상자","기본값");
<li>eval : 수식형태로된 문자열을 숫자로 계산, 문자는 생략됨.
<li>parseInt : 문자열을 정수로 바꿔주는 함수<br>
 ex)parseInt(13.5) -> 13반환, parseInt("101",2) -> 5(이진법->10진법) 반환, parseInt("A") -> NaN 반환
<li>parseFloat : 문자열을 실수로 바꿔주는 함수. ex)parseFloat("10.33") -> 10.33
<li>isNaN : 주어진값이 순수한 문자인지 아닌지 판단함수.<br> isNaN("abc")->true, isNaN("12ab")->true, isNaN("12")->false
<li>escape : ISO-Latin-1 문자셋을 ASCII값출력(특수문자 변환에 사용) ex)escape("?") -> %3F
<li>unescape : escape 반대.. ex)unescape("%3F") -> ?

<br>
<h3>eval 사용예제</h3>
<script type="text/jscript">
var k=eval("23-12+45");
document.write("var k=eval(\"23-12+45\"); "+"k = "+k);

//eval 내용은 안보임
document.write("<br>result = 10*12 "+eval("result = 10*12"));
</script>
<br>
<h3>parseInt 사용예제</h3>
<script type="text/jscript">
document.write("\"1025.5\" : "+parseInt("1025.5"));
document.write("<br>\"1025.5\",16 : "+parseInt("1025.5",16));
document.write("<br>\"A\" : "+parseInt("A"));
</script>
</ul>
<br>
<ul><h2>사용자 정의 함수</h2>
<li>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함수로 구현하여 제작할수 있도록 한 함수
<li>함수가 호출되기전에 호출되어야 하므로 대체로 <head> 영역에 기술
<xmp>
[함수정의]
function 함수명([매개변수1], ...)
{
 실행할 명령...
 [return 값]
}
</xmp>
<br>ex) 삼각형 구하기.
<xmp>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tri(fb,fh)
{
 var farea = fb*fh/2;
 return farea;
}

var b = parseInt(prompt("삼각형 밑변은 ?",""));
var h = parseInt(prompt("삼각형 높이은 ?",""));
var area = tri(b,h);
document.write("삼각형 면적은 = "+area);
</script>
</xmp>
<script type="text/jscript">
function tri(fb,fh)
{
 var farea = fb*fh/2;
 return farea;
}

var b = parseInt(prompt("삼각형 밑변은 ?",""));
var h = parseInt(prompt("삼각형 높이은 ?",""));
var area = tri(b,h);
document.write("삼각형 면적은 = "+area);
</script>

</body>
</html>

Posted by 말없제이
,